CS기초/네트워크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원리] 1장. 네트워크의 기본

오늘의 나1 2022. 7. 31. 11:51

1.1 네트워크의 분류

  • 네트워크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한 지에 따라 public/private 네트워크로 나뉜다.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범위에 따라 LAN/WAN으로 나뉜다.

 

1.2 인터넷

  •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들에 의해 전 세계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 ISP의 예: KT같은 통신사업자, Amazon같은 인터넷 서비스 기업
  • 집에서 KT인터넷을 계약: ISP인 KT의 라우터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1.3 통신

  •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애플리케이션의 역할이 서버인 지, 클라이언트인 지에 따라 통신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받는다. 서버가 중앙집중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해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된다.
  • P2P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끼리 통신하는 것. 메신저나 온라인 게임 등이 있다.
    • 하이브리드 P2P: 데이터 전송 자체는 클라이언트끼리 하되, 데이터를 주고받을 클라이언트를 알기 위해 서버를 이용. 서버에 대한 의존성이 있다. 
    • Pure P2P: 각각의 노드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서버에 대한 트래픽이 분산되므로 한 대의 서버가 죽어도 다른 서버를 사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노드간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하고, 노드별로 데이터가 불일치될 수 있다.

 

1.4 TCP/IP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이라는 약속이 필요하다.
  • TCP/IP라는 프로토콜이 널리 사용한다. 

 

1.5 클라우드 서비스

  • 온프레미스: 직접 서버를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
  •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AWS, Azure, GCP)가 서버를 구성하는 것. 사용자는 서비스 계약 후 구성된 서버를 이용한다.

 

1.6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 IaaS: AWS EC2처럼 네트워크, 스토리지, OS 등이 구성된 서버 컴퓨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 PaaS: Heroku처럼 내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해서 쓸 수 있도록, 런타임까지 다 구성해서 제공하는 서비스
  • SaaS: Youtube, Instagram 같은 온라인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가 관리해야 하는 범위

출처

  • Gene.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원리』. 서울: 영진닷컴 출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