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기초/네트워크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원리] 6장. 라우팅

오늘의 나1 2022. 8. 28. 16:50

라우터

라우터는 인터넷 계층(L3)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장치다. 

 

라우터로 도착하는 이더넷프레임의 도착지MAC주소는 라우터의 것인데, 도착지IP주소는 정말 도착지 IP 주소다. 

왜냐면, L2는 같은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만 통신할 수 있고, L3는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우터는 IP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IP패킷이 전송되어야 할 곳을 정한다.

라우터는 스위치와 달리 목적지IP주소를 모르면 폐기한다. 

라우터는 IP패킷이 전송되어야 할 곳을 확인하고, 이곳의 MAC주소를 확인해서 이더넷프레임을 새로 만는다. 

 

라우터로 들어오는 이더넷 프레임은 라우터를 나가는 이더넷 프레임과 목적지 MAC이 다르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라우터 주소 또는 진짜 목적지 주소가 등록되어 있다.

 

L3 스위치와 VLAN

L3 스위치로 가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VLAN을 만들어서 VLAN에 등록한 호스트끼리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더라도 다른 VLAN에 있는 경우, 내부 라우터를 통해서 패킷이 오고간다. 

 

 

참고

  • Gene.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원리』. 서울: 영진닷컴 출판, 2020